7 min read

팟캐스트 성장, 한국과 미국은 왜 다를까

99670D365BD1B4DC2B

Sanghyun Park 컨텐츠 퀄리티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의 팟캐스트와 같은 정도의 퀄리티였다면, 모든 조건이 동일해도 이런 붐을 일으키지는 못했을 겁니다.

비유를 하자면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재활용하던 훌루 정도로는 지금같은 스트리밍 전성시대는 열리지 않았겠죠. 넷플릭스 수준의 컨텐츠가 나오니까 사람들이 스트리밍으로 올라탄 거고, 제가 보는 미국의 팟캐스트가 넷플릭스라면, 한국의 팟캐스트는 여전히 라디오 방송시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준, 그러니까 과거의 훌루 정도로 보입니다.

Mediagotosa -> Sanghyun Park 그럼 아래 이철규님이 말씀하신 내용과 연결될 수도 있겠네요. 넷플릭스급 팟캐스트를 생산하는 역량있는 인재들이 어디서부터 나왔는가에 대한 의문들 말이죠. 로컬 언론사의 위기로 시작된 인재 이탈이 이쪽으로 넘어왔다고 보는 것도 가능할 것 같은데. 관계가 있을까요?

Sanghyun Park -> Mediagotosa 저는 인재 부분은 거의 분명하게 밝혀졌다고 알고 있습니다. NPR, PRI 같은 퍼블릭 라디오에서 고품질 토크, 저널리즘 프로그램이 생산되고 있었고, 실제로 2008년 전후에 상위 팟캐스트는 대개 거기에서 나왔거든요.

얼마전에 Spotify가 인수한 Gimlet이 PRI를 통해 퍼블릭 라디오 방송국으로 송출하(고 팟캐스트 1위를 하)던 This American Life의 프로듀서가 만든 최초의 종합 팟캐스트 기업이기 때문에 거의 그쪽 사단이라고 봐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이에 관해 잘 정리한 기사: https://www.fastcompany.com/.../the-surprisingly...

물론 지금은 누구나 마이크 하나만 있으면 팟캐스트를 시작하지만, 그런 만담 포맷은 특별한 제작 능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이미 지상파 라디오나 위성 라디오에서도 꾸준히 하던 방식이라 (가령 Howard Stern) 익숙하죠. 다만 젊은 층에 맞는 새로운 진행자 (가령 Joe Rogan)를 찾은 것이고, 로컬 언론사의 인재가 팟캐스트로 넘어왔다고 보기는 힘들 거 같아요. 좀 더 알아봐야겠지만요.


남중권 팟캐스트의 광고 효율성 (낮은 회피율, 높은 전환율)이 입증되면서, 통계를 위한 인터넷 표준이 적용됐습니다. 그걸 바탕으로 midroll company와 같은 업체가 팟캐스트 광고영업에 뛰어 들었구요. 이런식으로 돈이 이쪽 업계로 들어온게 가장 큰 이유인걸로 보입니다.

스포티파이의 경우에는 저작권이슈가 크다고 들었습니다. 음원 서비스가 저작권 이슈로 인해 수익에 한계가 있구요, 이로인해 오리지널 서비스를 확보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죠. 또, 이를 바탕으로한 2차 저작물 수익도 만만치 않구요. 지난번 Gimlet이나 이번 the Ringer 인수도 크리에이터를 통한 저작권 확보가 큰 이유라고 보여집니다.

에어팟의 대중화도 오디오 콘텐츠 부흥에 한몫했다고 하는데, 이건 입증하긴 힘들구요 ㅎ

Mediagotosa 저 앞쪽에 대한 정보가 사실 많이 궁금했습니다. 팟캐스트의 광고 시장 성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이렇게 성장하긴 어렵다고 봤거든요. 근데 그 광고 시장의 성장을 견인한 요인이 무엇인가가 늘 궁금했습니다. Vox Podcast가 Stitcher등과 파트너십을 맺을 때도 광고였는데. 정말 미국에서 팟캐스트 광고 시장이 어느 정도 속도로 성장하는지... 참 데이터 찾는 게 귀찮다 보니.^^ 감사합니다.

남중권 -> Mediagotosa https://www.iab.com/.../third-annual-podcast-ad-revenue.../

작년 자료이고 이미 여러 매체에서 인용된 자료라 이미 보셨을 수 있지만, 급증세로 판단하고 있다고 합니다. 높은 전환률때문에 cpm 단가도 매우 높구요. 결국 돈이 모이는 곳에.............ㅎ


이철규 댓글들에 말씀 주신 광고효과와 이용행태 변화도 있겠습니다만, ESPN과 지역언론들의 대규모 구조조정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2010년 대 초반에 언론사 대량해직사태로 인해 유능한 인재들이 팟캐스트로 대거 유입되면서 중흥기를 맞았던 당시와 같다는 생각이거든요.
이 인재들이 참여하면서 원래 있던 좋은 콘텐트를 좀 더 잘 패키징시키고 수익을 창출시킬 수 있게 연결하자 그럴 듯한 상품이 되어 투자를 유치할 수 있게 되더라.

Mediagotosa 아 이건 정말 전혀 모르고 있었던 흐름이네요. 혹 구체적 자료가 있으면 공유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질 좋은 팟캐스트 공급이 이렇게 가능했나 보군요. 감사합니다.

이철규 -> Mediagotosa 저도 이번 회사 컨퍼런스에서 자회사인 AI의 워드스미스 세션때 이야기하다 미국 지역 동향 이야기하던 걸 들은 거라 ㅋ 혹시 자료가 있는 지 물어보겠습니다.


최원석 http://www.digitalnewsreport.org/.../podcasts-who-why.../

'팟캐스트다 미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이유'에 관해서 언급했는지는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습니다만...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9년 보고서 내용 중 참고하실만 한 내용이 있습니다. 왜 몇몇 국가에서 팟캐스트가 인기인지를 인구통계학적으로 조사해 소개해 뒀습니다. (방금 간단히 읽고 몇 가지만 아래 붙입니다)

  • 2019년 기준 35세 이하 스마트폰 보급 증가와 팟캐스트 인기는 연관성이 있다
  • 대표적 청취 장소/시기: 집에서 많이 듣는다, 출퇴근할 때 많이 듣는다, 침대에서, 세탁/청소할 때 등
  • 팟캐스트의 일반적 길이 20-40분은 평균 출퇴근 시간과 비슷
  • Washington Post 에서 제작하는 Post Reports 는 저녁 퇴근 시간에 올린다. (Post Reports from the Washington Post is released in time for the evening commute.)
  • Generation Z 와 Y 의 팟캐스트 청취 이유가 살짝 다르다

Mediagotosa 저 보고서를 보면 아시겠지만 한국은 팟캐스트 톱 국가로 나오거든요. 근데 이 시장은 미국만큼 성장하진 않아서 말이죠. 결국 광고가 아닌가 싶어서

최원석 https://www.edisonresearch.com/the-podcast-consumer-2019/

스마트 스피커 증가도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Mediagotosa 사실 스마트 스피커 보급율, 사용률은 한국도 만만치 않거든요. 관련성을 부인하긴 어렵겠지만 산업의 성장에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기여하고 있는지 아직 확신이 서질 않더라고요.


조진철 땅덩이가 넓고 교통 체증이 심해 갇혀있는(?) 시간이 많아서? ^^

Mediagotosa 판도라가 그런 라이프스타일을 잘 먹어삼켰는데 요즘은 이름이 잘 언급이 안되더라고요. 다들 팟캐스트만